“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현(應賢)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응현(應賢)@방응현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응현(應鉉) - 박응현(朴應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린(朴嶙)의 아들로,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응협(應夾)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응황(應璜) - 강응황(姜應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예산 현감(禮山縣監)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회(應會)@서응회 - 서응회(徐應會)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차기서동년(次寄徐同年)〉이라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회(應會)@신응회 - 신응회(辛應會)
조선 전기의 문인.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응회(應會)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응후(應侯) - 범수(范睢)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재상. 원래는 위(魏) 나라 사람으로 변설(辨說)에 능하였으며, 진 소왕(昭王)을 도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주창하여 육국(六國) 통일의 기초를 마련하고, 그 공으로 응후(應侯)에 봉해짐.
?~B.C.25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응훈(應勳) - 양응훈(楊應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의 직책을 맡아 조선에 1차로 파병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응훈(應勳)@박응훈 - 박응훈(朴應勳)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선조 34)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황간(黃澗)의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됨.
1539~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응훈(應壎) - 금응훈(琴應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영춘 현감(永春縣監)ㆍ양천 현감(陽川縣監) 등을 역임하고 《퇴계집(退溪集)》 간행실무자로 참여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응휴(應休)@안천서 - 안천서(安天瑞)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성혼(成渾)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휴(應休)@금봉서 - 금봉서(琴鳳瑞)
조선 전기의 문신. 시문에 능하여 퇴계 이황(李滉)의 문집을 교열했으며,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휴(應休)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희(應禧) - 이응희(李應禧)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계수(坡溪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㼁) - 영창대군(永昌大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열네 번째 아들.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으로,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던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大北派)의 무고로 강화(江華)로 유배되어 죽음을 당함.
1606~161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依) - 유의(柳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버지로, 순문사(巡問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의(倚) - 이의(李倚)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猉)의 넷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儀)@송의 - 송의(宋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송복기(宋福基)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