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의(義)@정의 - 정의(鄭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판현사(判縣事)를 지낸 정안도(鄭安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의(義)@곽의 - 곽의(郭義)
조선 전기의 효자.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공양한 효도를 기리는 시(詩)가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의(義) - 왕의(王義)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장인. 익비한씨(益妃韓氏)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의(義)@심의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艤) - 이의(李艤)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4세손으로, 백성수(栢城守) 이원(李源)의 아들. 1502년(연산군 8) 종친시예(宗親試藝)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469~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艤)@양의 - 양의(梁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1544년(중종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의(薿) - 기의(奇薿)
조선 후기의 문신. 1587년(선조 20) 단양 군수(丹陽郡守)로 있을 때 사헌부(司憲府)로부터 참람함과 공사불명의 죄를 탄핵받아 파직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의(薿)@이의 - 이의(李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인(李昌仁)의 아들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誼)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誼)@양의 - 양의(楊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십정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사위.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의(顗)@이의 - 이의(李顗)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중서령(中書令)을 지낸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이며, 학자 이자현(李資玄)의 아버지. 누이들이 문종의 비(妃)가 되자 관직에 올라 외적 평정에 큰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의(顗) - 강의(康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주천(舟川) 강유선(康惟善)의 아버지로,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의(顗)@정의 - 정의(鄭顗)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경인(西京人) 최광수(崔光秀) 등이 난을 일으키자, 분대녹사(分臺錄事)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攝中郞將)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
?~123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의^원(誼^原) - 굴^가(屈^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인인 굴원(屈原)과 전한(前漢) 때의 문인인 가의(賈誼)를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의^진(儀^秦) - 소^장(蘇^張)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모사(謀士) 소진(蘇秦)과 위(魏) 나라의 모사 장의(張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의간(懿簡)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간(毅簡)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간자(猗玕子)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감(醫鑑) - 동의보감(東醫寶鑑)
조선 선조(宣祖) 때 태의(太醫)인 허준(許浚)이 지은 의서(醫書). 25권 25책. 목판본. 1613년(광해 5) 내의원(內醫院)에서 간행함. 내경ㆍ외형ㆍ잡병ㆍ탕액ㆍ침구 등 5대 강편 아래, 각 질병에 따라 병론과 약방을 열거하고, 각 병증을 따르는 단방(單方)과 침구법, 경험방을 붙임.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의강(義剛) - 황의강(黃義剛)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