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좌와(靜坐窩)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정주(呈珠) - 이정주(李呈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영정수(永定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들로, 난역(亂逆)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放免)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주(定州)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정주(靜州)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정주(鼎柱) - 성정주(成鼎柱)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이자 성근묵(成近默)의 아버지로,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주공소(鄭注孔疏)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정주자(淨住子)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정주학(程朱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정준(廷俊)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준(貞俊)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준유(鄭俊儒) - 정의(鄭顗)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경인(西京人) 최광수(崔光秀) 등이 난을 일으키자, 분대녹사(分臺錄事)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攝中郞將)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
?~123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정중(正中)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중(正仲) - 성세평(成世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상을 지낸 성락(成洛)ㆍ성람(成灠)과 성영(成泳)의 아버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1516~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중(精中) - 이정중(李精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중(李惟中)의 아우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중(精仲) - 김희련(金希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岩).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평사(評事)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정중(靜仲)@허초 - 허초(許礎)
조선 전기의 유학. 이자(李耔)ㆍ이연경(李延慶)ㆍ김세필(金世弼)ㆍ정약빙(鄭若氷) 등과 종유하면서 강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중(靜仲)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정중(鼎重)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중부난(鄭仲夫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정지(定之)@유정지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