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헌(貞憲)@의인왕후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헌(貞憲)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헌(貞憲)@임추 - 임추(任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순직함.
1482~153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정헌(貞憲)@엄집 - 엄집(嚴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감찰(監察) 엄성구(嚴聖耉)의 아들로,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돈(李墪)과 함께 《송도지(松都誌)》를 증수함.
1635~171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정헌(貞憲)@박동선 - 박동선(朴東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사재감 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左參贊)에 오름.
1562~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헌(貞獻)@문벽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헌(貞獻)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헌(靖憲)@유언술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靖憲)@김흥경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靖憲)@김수현 - 김수현(金壽賢)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김진(金鎭)의 아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斥和)를 주장함.
1565~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靖憲)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헌(靖憲)@정종영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靖軒)@정종 - 정종소(鄭從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이교(鄭以僑)의 아버지로, 성균 사성(成均司成)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기절(氣節)이 빼어나 김종직(金宗直)의 존중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靖軒) - 염복(閻復)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강엽(康曄)의 문인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절서도 숙정염방사(浙西道肅政廉訪使) 등을 지냄.
1236~131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헌(靜軒) - 이기(李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수장(李壽長)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헌사(進獻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정헌선생(貞獻先生)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헐후체(鄭歇後體) - 정오헐후체(鄭五歇後體)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정계(鄭綮)가 쓴 시체(詩體). 헐후(歇後)는 뒤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앞의 은유어로 대신하고 말하지 않는 문체로, 정계가 시에 능하여 헐후체를 사용하여 시사를 풍자한 데서 비롯됨.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정현계(鄭玄繼)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현대비(貞顯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현왕비(貞顯王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