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황(丁璜)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정황(庭篁) - 송정황(宋庭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동복 현감(同福縣監) 송구(宋駒)의 아들이고 구례 현감(求禮縣監) 송정순(宋庭筍)의 동생으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정황돈(程篁墩)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황돈집(程篁墩集) - 황돈집(篁墩集)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민정(程敏政)의 문집. 93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회(庭檜) - 이정회(李庭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공을 세운 뒤에 귀향하여 지남서당(芝南書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힘씀.
1542~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회선생(正晦先生) - 정은(鄭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갈홍(葛洪)의 스승. 원래 유학(儒學)을 공부하였으나 나이 들어 갈현(葛玄)을 스승으로 모시고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받음.
?~3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효(貞孝)@홍담 - 홍담(洪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언광(洪彦光)의 아들. 훈구파(勳舊派)의 거두로서 정철(鄭澈) 등의 사림파(士林派)와 대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정효(貞孝)@능원대군 - 능원대군(綾原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백부인 의안군(義安君) 이성(李珹)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곧고 온후한 성품으로 종실의 모범이 됨.
1592~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효(貞孝)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효(靖孝)@최한기 - 최한기(崔閑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영흥(永興). 조선 태조(太祖)의 외조부로,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補祚協贊佐理功臣)과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정효(靖孝)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효(靖孝)@윤이지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효(靖孝)@효령대군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후(定侯)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후(挺後) - 기정후(奇挺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후손이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기언정(奇彦鼎)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ㅣ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정후(靖侯) - 방통(龐統)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모사(謀士). 제갈량(諸葛亮)에 버금가는 지략가로, 유비(劉備)의 를 도와 활약하다가 낙성(洛城) 전투 때 낙봉파(落鳳坡)에서 전사함.
179~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정후(靖厚)@연사종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후(靖厚)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후(靖后) - 애정왕황후(哀靖王皇后)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제10대 애제(哀帝)의 황후. 태원(太原) 진양(晉陽) 사람으로, 황후가 된 지 3년 만에 죽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후(靜厚) - 김정후(金靜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인재(認齋) 김현도(金玄度)의 아들이며, 최립(崔岦)의 문인(門人). 문장에 능하여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으며, 옹진 군수(甕津郡守) 재직 중 고위층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함.
1576~164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