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일휴(日休)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일휴당(日休堂)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일휴당(日休堂)@최경회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임(任)@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任) - 윤임(尹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오빠.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청되어 유배 도중 사사됨.
1487~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임(任)@홍임 - 홍임(洪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주(洪景舟)ㆍ홍경림(洪景霖)의 아버지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임(任)@허임 - 허임(許任)
조선 전기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의 병풍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任)@배임 - 배임(裵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전의감 겸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낸 배순(裵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유학
-
임(恁) - 안임(安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낸 안자유(安自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임(林) - 유림(柳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성간(柳成澗)의 아들. 밀직사(密直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임(琳) - 권림(權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 권유순(權有順)의 아들이자, 이보정(李補丁)의 사위로,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임(琳)@윤림 - 윤림(尹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계겸(尹繼謙)의 아들이며 윤안인(尹安仁)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임(琳)@이림 - 평원대군(平原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째 아들.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의 소생으로, 부사(府使) 홍이용(洪利用)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427~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銋)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銋)@김임 - 김임(金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한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유학
-
임(霖) - 이림(李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중종 때 진위사(進慰使)로 중국에 다녀오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모함을 받아 의주(義州)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賜死)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임^사(任^姒)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임^사(姙^姒)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임간(任姦)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갈천(林葛川)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