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능(子能) - 이신효(李愼孝)@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이이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당(子當)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도(子道) - 유휘(劉煇)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대리평사(大理評事)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簽書河中府節度判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동귀집(東歸集)》이 있음.
1030~106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都)@호모생 - 호모생(胡母生)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ㆍ학자.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스승인 공양수(公羊壽)와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都) - 포선(鮑宣)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애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으며 간대부(諫大夫)를 역임하였으나, 평제(平帝) 때 왕망(王莽)이 정권을 잡은 후 무함을 당하자 자살함.
?~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韜)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동(子同) - 장지화(張志和)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은자.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발탁되어 벼슬하다가 물러나와 연파조도(煙波釣徒)라 자처하고 은둔하였으며, 《현진자(玄眞子)》라는 저술을 남김.
730~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동(子東)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동(紫洞)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동거사(紫洞居士)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두(煮豆)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자득(子得) - 김열(金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헌납(獻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등향(紫藤香) - 강진향(降眞香)
유구(琉球)ㆍ태국(泰國)ㆍ중국(中國)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香) 이름.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물품>기타용품>의료용품
-
자락(自樂)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락헌(自樂軒)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량(子良)@노기 - 노기(盧杞)
중국 당(唐) 덕종(德宗) 때의 간신.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顔眞卿)을 제거할 목적으로,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李希烈)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
?~78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량(子良)@소자량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자량(子良)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량(資諒) - 유자량(庾資諒)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인(武人)들과 교제하여 무신의 난 때 화를 면하였고,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치사(致仕)하였음.
1150~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자렴(子廉) - 한사개(韓士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신도비(神道碑)를 찬함.
1453~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