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작약(勺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약지화(芍藥之花)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약화(芍藥花)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조(鵲祖)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잔하(殘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잘산군(乽山君)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잠(潛)@조선전기 - 이잠(李潛)@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진사 이식(李埴)의 맏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이복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잠(潛)@장잠 - 장잠(張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능주(綾州)로 유배되자 그를 배종(陪從)하였고, 후에 스승의 신원소(伸寃疏)를 올렸음.
149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유학
-
잠(潛)@조선후기 - 이잠(李潛)@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손자로, 능해군(綾海君) 구성(具宬)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잠(潛)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潛)@유잠 - 유잠(柳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잠가주(岑嘉州) - 잠삼(岑參)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고적(高適)과 함께 시로 유명하여 흔히 고잠(高岑)이라 병칭함. 그의 시는 사의(辭意)가 청절(淸切)하고 문채와 풍치가 뛰어남.
715~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계(潛溪)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계(潛溪)@이전인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잠곡(潛谷) - 김육(金堉)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대동법(大同法) 실시, 수차(水車)ㆍ수레 사용,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80~165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 잠곡유고(潛谷遺稿)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문집. 14권 10책. 활자본.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金佐明)이 초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잠랑(潛郞)@풍당 - 풍당(馮唐)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평생 미관말직에 있었으며, 문제가 흉노(匈奴)의 방비책을 묻자 직간(直諫)하여 칭찬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잠랑(潛郞) - 낭잠(郞潛)
낭관(郎官)의 자리에 침체됨. 전한(前漢)의 안사(顔駟)가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세 임금을 섬기도록 승진하지 못하고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는 불운을 뜻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잠로(岑老)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잠부(潛夫) - 유극장(劉克莊)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육유(陸游)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강호시파(江湖詩派)를 주도함.
1187~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