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전(杖錢) - 장두백전(杖頭百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외출할 때면 언제나 지팡이 끝에다 돈 1백 전을 걸고 나가 주점(酒店)에 이르러 혼자 즐기며 마셨던 데서 온 고사성어로, 술 살 돈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전계(張箭溪)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장절(壯節)@김낙 - 김락(金樂)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신숭겸(申崇謙)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 〈도이장가(悼二將歌)〉의 주인공.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절(壯節)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장절(壯節)@민건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장절(壯節)@신숭겸 - 신숭겸(申崇謙)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태조를 구출하고 전사함.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곡성ㅣ강원도>춘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절(章節)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장절(章節)@이정녕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정(壯貞)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정(莊貞)@이기 - 이기(李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지란(李之蘭)의 아들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2~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장정(莊貞)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정(莊靖)@위시량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정(莊靖)@정숭조 - 정숭조(鄭崇祖)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벼슬에 올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거쳐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에 진봉(進封)됨. 경사(經史)에 밝았음.
1442~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정(莊靖)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정위(張廷尉) - 장석지(張釋之)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법을 엄히 지키고 죄인을 공평하게 다스려서 칭송을 받았고, 꿇어 앉아 처사(處士) 왕생(王生)의 대님을 매어 줌으로써 인품이 더욱 돋보였다는 일화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제(莊帝) - 효장제(孝莊帝)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제9대 국왕. 재위 528~530. 효명제(孝明帝)를 이어 국왕이 됨.
507~5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조(莊助) - 엄조(嚴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동방삭(東方朔)ㆍ사마상여(司馬相如)ㆍ오구수왕(吾丘壽王) 등과 함께 총애를 받았으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모반사건 때 유안과 사이가 좋았다는 이유로 사형당함. 주매신(朱買臣)을 추천하여 관직에 오르게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조(莊祖)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장종대왕(莊宗大王)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장주(張籌)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