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혜(章惠)@정렴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호(長湖) - 경호(鏡湖)
중국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에 있는 호수 이름. 물이 거울처럼 잔잔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장화(章和)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화(長和) - 양침(羊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양권(羊權)의 아버지로, 서주 자사(徐州刺史)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화왕후오씨(莊和王后吳氏) - 장화왕후(莊和王后)
고려 태조(太祖)의 비(妃). 나주(羅州)의 호족인 오부순(吳富純)의 딸로, 혜종(惠宗)의 어머니가 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왕실>왕비
-
장황제(章皇帝) - 선종(宣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5대 황제. 재위 1425~1435. 재위 기간 중 과거법(科擧法)을 고치고 군제(軍制)와 학제(學制)를 개혁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1398~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황제(莊皇帝)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효(章孝)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장효(莊孝)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장흠(長欽)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장흥군(長興君)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장흥군(長興君)@이상 - 이상(李祥)@이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서자인 영산군(寧山君) 이전(李恮)의 아들이며. 안민학(安敏學)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장흥부원군(長興府院君)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장희(莊僖)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재(再)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在)@신재 - 신재(愼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셋째 아들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재(在)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재(宰)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재(宰)@이재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재(栽) - 이재(李栽)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주리론(主理論)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저서로 《성유록(聖喩錄)》ㆍ《금수기문(錦水記聞)》ㆍ《주서강록간보(朱書講錄刊補)》 등이 있음.
1657~17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