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재(梓)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재(榟)@금재 - 금재(琴榟)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봉성(鳳城).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만년(晩年)에 예안 훈도(禮安訓導)를 지냄.
149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재(榟) - 이재(李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자,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둘째 아들이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충량(鄭忠樑)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재(縡)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載)@홍재 - 홍재(洪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공민왕(恭愍王)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다하려는 것을 보고 이오(李午)ㆍ이전(李琠)ㆍ조열(趙悅) 등과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재(載)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재가(載可)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재간(在澗) - 강휘망(姜徽望)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재경(才卿)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공(齋公)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로(才老) - 오역(吳棫)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천주통판(泉州通判)을 지내고, 주희(朱熹)가 극찬한 훈석학(訓釋學)의 대가로 《서비전(書裨傳)》ㆍ《시보음(詩補音)》ㆍ《논어지장(論語指掌)》ㆍ《고이속해(考異續解)》ㆍ《초사석음(楚辭釋音)》ㆍ《운보(韻補)》ㆍ《자학보운(字學補韻)》등의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룡(在龍)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재륜(載崙)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재문(在汶)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재백(才伯)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재보(再父)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비(宰嚭)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재사당(再思堂)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재사당선생일집(再思堂先生逸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재사당집(再思堂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