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詮)@오전 - 오전(吳詮)
조선 전기의 유학. 그가 낙향(落鄕)할 때 김인후(金麟厚)가 시를 지어 전송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전(詮)@신전 - 신전(愼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신이충(愼以衷)의 아들. 1429년(세종 11)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전(詮)@배전 - 배전(裵詮)
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흥해(興海).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 손홍량(孫洪亮)의 사위이며, 사복시 판사(司僕寺判事) 배상지(裵尙志)의 아버지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첨의평리(僉議評理)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銓)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전(銓)@심전 - 심전(沈銓)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경기 감사(京畿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전(鱄) - 공자전(公子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헌공(獻公)의 동생으로, 헌공이 자신을 복위시킨 영희(甯喜)를 죽이자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전가공자(田家公子) - 맹상군(孟嘗君)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경대부. 정곽군(靖郭君) 전영(田嬰)의 아들로, 현사(賢士)를 초빙하여 식객(食客) 3천여 명을 거느렸다고 함. 진(秦)ㆍ제(齊)ㆍ위(魏) 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춘신군ㆍ평원군ㆍ신릉군과 더불어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림.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경(籛鏗)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계(箭溪)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전광도(全光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교서(典校署)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전금(展禽)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기(佺期) - 심전기(沈佺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초에 제(齊)ㆍ양(梁) 나라의 궁체시(宮體詩)를 계승하여 율시(律詩)라는 새로운 형식의 운율(韻律)을 완성시킴.
656~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전기(全歧) - 연기(燕岐)
충청남도 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1414년(태종 14) 전의(全義)와 통합했다가 1416년(태종 16) 다시 분리함.
충청도>연기 , 지명>행정지명
-
전남(全南)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남도(全南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당이씨(錢塘李氏)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라주도(全羅州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록(前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