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경(正卿)@이효충 - 이효충(李效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예에 능해 예조 좌랑(禮曹佐郞) 겸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별시(別試)에 장원한 이듬해 병사(病死)함.
1484~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정경(正卿)@권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경(禎卿) - 서정경(徐禎卿)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한위(漢魏)와 성당(盛唐)의 시풍을 이어 고아(古雅)한 풍격의 시를 지음. 명 나라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9~151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정경(貞敬) - 문공원(文公元)
고려 예종(睿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둘째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의종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4~1156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정경(貞景)@김사원 - 김사원(金士元)@고려후기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문하시랑찬성사 김련(金璉)의 아들. 충선왕 때 권신 이대순(李大順)의 모함으로 장류(杖流)됨. 돌아와 평양 윤(平壤尹) 등을 거쳐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에 이름.
?~131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경(貞景)@이응 - 이응(李膺)@조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태종(太宗)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크게 돕고, 계미자(癸未字) 주조에도 공헌함.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경(貞景)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경(鼎卿) - 김식(金鉽)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자점(金自點)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郎)이 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김자점의 옥사(獄事) 때 역모 혐의로 함께 처형됨.
162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경망(鄭景望) - 정백웅(鄭伯熊)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永嘉學派)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저서에 《몽재필담(蒙齋筆談)》ㆍ《부문서설(敷文書說)》이 있음.
112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경서(鄭景舒)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경석(丁景錫)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경음(鄭慶陰)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계함(鄭季涵)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계회(丁季晦)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정고(正考)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곡(靜谷) - 배세적(裵世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중후(裵仲厚)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군위 현감(軍威縣監)을 지냈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471~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정곡(靜谷)@임권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곡(鼎谷)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곤수(鄭崑壽)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공(正公)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