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불우헌(丁不憂軒) - 정극인(丁克仁)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광(靈光). 최초의 가사(歌辭) 작품인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단종(端宗)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
1401~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비(定妃) - 정비안씨(定妃安氏)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妃). 본관은 죽산(竹山). 안극인(安克仁)의 딸로, 1366년(공민왕 15) 왕비로 책봉되고, 1390년(공양왕 2)에 왕대비(王大妃)로 봉해짐. 조선 태조(太祖)의 즉위 때 대비 자격으로 옥새를 넘겨줌.
?~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정비(貞妃) - 정숙왕후(貞淑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증조부인 익조(翼祖)의 비(妃). 본관은 등주(登州).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최기열(崔基烈)의 딸로, 태조가 정비(貞妃)로 추존하고 태종(太宗)이 정숙(貞淑)의 시호를 더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정비(貞妣)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비(鄭毗) - 정승원(鄭承源)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낸 정해(鄭諧)의 아버지로,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ㆍ지제고(知制誥)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비(靜妃)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빈(正彬)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빈(貞嬪)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사(正思)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사(精寺) - 월정사(月精寺)
강원도 평창(平昌)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창건했으며, 여러 차례 화재를 겪음.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무는 성지(聖地)로 여겨짐.
643 한국>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정사(靜師)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정사도(鄭思度)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사조(鄭士朝)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사현(鄭士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사현(鄭思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산(鼎山)@박형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정산(鼎山)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정삼(挺三) - 탁정삼(卓挺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셋째 아들이고,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의 동생이며,탁정오(卓挺五)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삼봉(鄭三峯)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상(廷相)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