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수(廷秀)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수(廷秀)@유정수 - 유정수(柳廷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냈으며, 김종직(金宗直)의 사옥(史獄) 때 항론(抗論)하다 장배(杖配)되었음.
1451~150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정수(正叟)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정수(靜修)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수(靜叟)@유인숙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수(靜叟) - 정초(鄭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수붕(鄭壽朋)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수몽(鄭守夢)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수선생문집(靜修先生文集) - 정수집(静修集)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인(劉因)의 시문집. 저자가 직접 교정(校訂)한 시집과 죽은 후 문인과 친구들이 수집한 유문(遺文)을 모아 편찬하고, 순제(順帝) 때 관청에서 간행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정수재(鄭秀才)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수초(鄭遂初)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숙(正叔)@금원정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정숙(正叔)@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이정숙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숙(正叔) - 민세정(閔世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성군(驪城君) 민무질(閔無疾)의 증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 기묘사화 때 파출(罷黜)되었다가 함경 도사(咸鏡都事)에 발탁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여대아 - 여대아(余大雅)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부지런히 학문을 연구하여 인정을 받았으며, 저서에 《주자어록(朱子語錄)》 1권이 있으나 일실(佚失)되어 전하지 않음.
1138~11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숙(正叔)@권격 - 권격(權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을 역임했으며《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620~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숙(正叔)@정종아 - 정종아(鄭從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 1453년(단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낙향하여 독서로 여생을 보냄.
142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무신
-
정숙(正淑)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숙(正淑)@경녕군 - 경녕군(敬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 효빈김씨(孝嬪金氏)의 소생으로,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 태종부터 세조(世祖)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
1395~14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숙(貞叔) - 임대동(林大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나아가 배움. 1474년(성종 5) 생원이 되고,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