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연(挺然)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연(鄭衍)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연(靜淵)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연지(鄭衍之)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오(丁午)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정오(定旿) - 김정오(金定旿)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존정(金存正)의 아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景鄒)에서 정오(定旿)로 고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정오(挺五) - 탁정오(卓挺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넷째 아들이며,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ㆍ탁정삼(卓挺三)의 동생. 탁운간(卓雲幹)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오(正吾)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오(鄭五) - 정계(鄭綮)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 헐후체(歇後體)의 해학적인 시로써 조정의 실정(失政)을 풍자하는 데 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오천(鄭烏川)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옹(靜翁) - 나안인(羅安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생원(生員) 나보중(羅甫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정옹(靜翁)@조광조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옹(鼎翁) - 성직(成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大字)를 잘 썼음.
1586~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와(靜窩)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완(訂頑)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정완(鄭完)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정왕(定王)@유발 - 유발(劉發)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경제(景帝)의 열째 아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의 5대조.
?~B.C.12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정왕(定王) - 정종(定宗)@고려
고려의 제3대 왕. 재위 946~949.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시도했으나 개경(開京)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
923~94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왕(鄭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정왕(靖王)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