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은옹(程隱翁)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읍부군(井邑府君) - 이자성(李自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아버지로, 정읍 감무(井邑監務)를 지내고, 뒤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정의(定懿) - 민공규(閔公珪)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종(高宗) 때의 학자 민인균(閔仁鈞)의 아버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어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의(廷議)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의(貞懿)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의(貞毅)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의(貞義)@채귀하 - 채귀하(蔡貴河)
고려 후기의 문신. 상서(尙書) 채원길(蔡元吉)의 아들로,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중시조. 호조 전서(戶曹典書)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이 됨. 정몽주(鄭夢周)와 친교(親交)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ㅣ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정의(貞義)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정의(靖懿)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의(鼎儀) - 육익(陸釴)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곤산(昆山) 사람으로, 태상경한림시독(太常卿翰林侍讀)을 지내는 등 학문에 뛰어남. 저서인 《만록(漫錄)》에서 환자(宦者) 장안(蔣安)이 경태제(景泰帝)를 죽였다고 서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정의백(鄭義伯)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이(靖夷)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이(靜而)@홍우정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정이(靜而) - 심징(沈澄)
조선 후기의 문신. 진사(進士) 심삼달(沈三達)의 아들로 종사랑(從仕郞)을 지냄. 심언광(沈彦光)의 문적(文蹟)을 모아 신원(伸寃)을 회복하는 장계(狀啓)를 올려 복관(復官)시킴.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정이(靜而)@정지운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정이(靜而)@이상안 - 이상안(李尙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의 별장(別將)이 되어 안주(安州)에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함.
1575~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정이율(鄭而栗) - 정여관(鄭汝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대제학(大提學) 정경세(鄭經世)의 아버지로,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에 추증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정이자(程二子) - 이정(二程)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程朱學)을 창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이천(程伊川)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익(廷益) - 우겸(于謙)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종(英宗)이 토목(土木)의 변(變)으로 포로가 되자 영종의 아우 대종(代宗)을 옹립하고 수도를 사수하였으며, 다시 돌아온 영종이 복위에 성공한 후 피살됨.
139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