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존재(存齋)@구우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존정(存正) - 김존정(金存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을 당한 김일손(金馹孫)의 후손. 김정오(金定旿)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존중(存中)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당(拙堂)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졸본부여(卒本夫餘) - 성천(成川)
평안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宣祖)의 후궁과 여러 왕자가 난을 피해 3년 동안 머물렀던 곳.
평안도>성천 , 지명>행정지명
-
졸본천(卒本川) - 비류강(沸流江)
평안남도 양덕(陽德)의 오강산(吳江山)과 맹산(孟山) 대모원동(大母院洞)에서 발원하여 대동강(大同江)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평안도>양덕ㅣ평안도>맹산 , 지명>자연지명
-
졸수(拙叟)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졸수재(拙修齋)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암(拙庵)@유영순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졸암(拙庵) - 이충작(李忠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후손이며, 당은군(唐恩君) 이휘(李徽)의 아들. 이기(李芑) 등의 보익공신(保翼功臣) 칭호를 삭탈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모친상을 슬퍼하다가 실명(失明)함.
1521~157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암(拙菴) - 연온(衍昷)
고려 후기의 승려. 충렬왕(忠烈王)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유경(柳璥)의 증손으로, 학수사선(學首四選)에 참여하여 갑과(甲科)에 합격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졸야(拙爺) - 양희(梁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노정(盧禎)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嶺南)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짐.
151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이성동 - 이성동(李成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이희안(李希顔)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면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졸옹(拙翁) - 채소권(蔡紹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졸은(拙隱)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유원지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졸재(拙齋)@노상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졸재(拙齋)@신식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