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踵)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종(鍾) - 이종(李鍾)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엄(終^嚴) - 엄^종(嚴^終)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인 엄안(嚴安)과 종군(終軍)을 함께 부르는 말. 당대에 문학(文學)으로 이름을 날렸던 두 사람을 말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종가(從嘉)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종가(鍾街) - 종로(鍾路)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東大門) 사이의 거리 이름. 조선시대에 종루(鐘樓)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종검(宗儉) - 이종검(李宗儉)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아우 이종겸(李宗謙)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하여 이맹전(李孟專)ㆍ김시습(金時習)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겸(宗謙) - 이종겸(李宗謙)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 일찍 벼슬을 버리고 형 이종검(李宗儉)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경(宗卿)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경(宗慶)@종경무 - 종경무(宗經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종조국(宗助國)의 아들이며, 종뇌무(宗賴茂)의 아버지. 무등씨(無藤氏)를 배경으로 기반을 닦고 고려와 통교(通交)하였으며,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베풀고 두량(斗量)을 제정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종경(宗慶) - 강종경(姜宗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사인(舍人) 강극성(姜克誠)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냈으며, 성혼(成渾)과 교분이 두터웠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경(宗慶)@이종경 - 이종경(李宗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종경(宗敬)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경(宗經) - 종경무(宗經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종조국(宗助國)의 아들이며, 종뇌무(宗賴茂)의 아버지. 무등씨(無藤氏)를 배경으로 기반을 닦고 고려와 통교(通交)하였으며,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베풀고 두량(斗量)을 제정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종경(從卿) - 권경호(權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소(權紹)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함창(咸昌) 일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활동했으며, 장성 군수(長城郡守)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4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종경(終卿) - 김시침(金時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으로, 서빙고 별제(西氷庫別提)에 제수됨.
1600~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종고(宗古) - 손석(孫奭)
중국 송(宋)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경술(經術)로써 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악기도(樂記圖)》ㆍ《오경절해(五經節解)》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곡(鍾谷)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종구(宗球) - 박종구(朴宗球)
고려 후기의 유학.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원(李原)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종기(鍾期) - 종자기(鍾子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백아(伯牙)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하였는데,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으면서, 세상의 음률(音律)을 이해하는 자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종길(宗吉)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