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직(宗直)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춘(宗春)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종춘(鍾春) - 종리춘(鍾離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선왕(宣王)의 부인. 어진 덕의 소유자였으나 단지 모습이 추했다는 이유로 황제(黃帝)의 왕비였던 모모(嫫母)와 더불어 세인들의 비난과 조롱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종태(宗台) - 민경익(閔景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적성 현감(積城縣監) 민우증(閔友曾)의 아들이며, 민보익(閔輔翼)의 형으로,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학(種學)@유종학 - 유종학(柳種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로, 유정태(柳挺泰)에게 출계(出系)함. 유흡(柳洽)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종학(種學)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종한(宗翰) - 공종한(孔宗翰)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공도보(孔道輔)의 아들. 형부 시랑(刑部侍郎)을 지냈으며, 공자의 46대손으로 《공씨종보(孔氏宗譜)》를 편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해(宗海)@황종해 - 황종해(黃宗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회덕(懷德).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11년(광해군 3)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鄭仁弘)의 전횡을 논박함.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예학(禮學)을 배움.
1579~164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학자
-
종해(宗海) - 여진(余進)
중국 명(明) 영종(英宗) 때의 학자. 증선지(曾先之)와 함께 《십구사략(十九史略)》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종호(從濩)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종호(從虎) - 김종호(金從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차남으로, 자여도 찰방(自如道察訪)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종효(宗孝)@유숭조 - 유숭조(柳崇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성(大司成)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 저서로 《진일재집(眞一齋集)》이 있음.
1452~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효(宗孝)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후(從厚)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후(鍾厚)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좌(佐)@유좌 - 유좌(柳佐)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유량(柳亮)의 아들이며,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의 사위로, 전사령(典祀令)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좌(佐)@홍좌 - 홍좌(洪佐)
고려시대의 문신. 시중(侍中) 홍난(洪鸞)의 후손으로 부계홍씨(缶溪洪氏)의 시조이며,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좌(佐)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좌거(左車)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좌구(左丘)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