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소(仲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소(仲素)@윤이지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중소(仲紹) - 백중소(白仲紹)
조선 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와 관련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소(仲邵) - 강억(姜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중종실록(中宗實錄)》기주관(記注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손(仲孫)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손멸(仲孫蔑) - 맹헌자(孟獻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어진 대부. 다섯 사람의 벗과 교유하였는데, 스스로 세력 있는 가문임을 염두에 두지 않았고, 세력에 아부하는 세속 사람을 멀리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손하기(仲孫何忌) - 맹의자(孟懿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에게 효(孝)에 대해 물은 일이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수(仲綏)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수(仲遂) - 공자수(公子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장공(莊公)의 서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수광운(重修廣韻)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수대명회전(重修大明會典) - 만력회전(萬曆會典)
중국 명(明) 나라의 행정법전(行政法典). 1587년 신시행(申時行) 등이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수하여 228권, 수(首) 2권으로 간행함.
158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중숙(中叔)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숙(仲叔) - 민공(閔貢)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노병(老病)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猪肝)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 안읍 현령(安邑縣令)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후한서(後漢書)》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중숙(仲叔)@이중숙 - 이중숙(李仲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셋째 아들로,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詩山正) 이정숙(李正叔)에 연좌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중숙(重叔)@김응남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숙(重叔)@홍신 - 홍신(洪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창(洪慶昌)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하사(進賀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중숙(重叔) - 조균(趙鈞)@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숙(重叔)@이정하 - 이정하(李鼎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손자.
1652~17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중숙(重淑)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순(中順)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