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여(仲輿) - 김광헌(金光軒)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심언광(沈彥光)과 교유하여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애사(哀辭)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중연(仲沿)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연(仲淵) - 박미(朴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짐. 장유(張維)ㆍ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
159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연(仲演) - 김중연(金仲演)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김자행(金自行)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ㆍ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열(中悅)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悅)@혜능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중열(仲悅)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悅)@조극공 - 조극공(趙克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계공랑(啓功郞) 조이종(趙李宗)의 아들. 조욱(趙昱)이 서울로 올라가는 조극공에게 영월(寧越)에서 시를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중열(仲說)@백유함 - 백유함(白惟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왕을 호종(扈從)했고, 명사(明使) 정응태(丁應泰)를 접반(接伴)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說)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열(仲說)@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榮) - 김익휘(金益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개(金鎧)의 아들로, 음보로 사산감역(四山監役)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이름이 남.
1533~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永) - 김수(金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세묵(金世黙)의 아들로, 김세정(金世靜)에게 출계(出系)함. 1572년(선조 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학유(學諭) 등을 지냈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英)@원호 - 원호(元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송수(元松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驪州)에서 적병을 무찌르고,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龜尾浦)에서 섬멸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중영(仲英) - 각웅(覺雄)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제자. 스승이 입적한 뒤 동문인 야운(野雲) 각우(覺牛)와 함께 중국에서 법을 구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여러 곳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묻고 깨달음을 얻음. 이색(李穡)이 그의 도를 위하여 〈중영설(仲英說)〉을 지어 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종교인>승려
-
중영(仲郢)@당 - 유중영(柳仲郢)@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들로, 이부 낭중(吏部郞中)ㆍ형부 상서(刑部尚書)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상서이십사사잠(尙書二十四司箴)》등의 저술을 찬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영(仲郢)@조선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예(仲豫)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중오(仲悟)@심경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중오(仲悟) - 이언경(李彦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