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조(中朝)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조(中祖)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조산(中條山)@수양산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종(中宗)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대왕(中宗恭僖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종대왕(中宗大王)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종대왕실록(中宗大王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재위 39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이기(李芑) 등이 주관하여 1550년(명종 5)에 간행함.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중종효선황제(中宗孝宣皇帝)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주(仲周) - 이신하(李紳夏)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식(李植)의 아들이며 이여(李畬)의 아버지. 예빈시 정(禮賓寺正)ㆍ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1623~16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중주(仲舟) - 신중주(申仲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本貫)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지낸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형. 지순창군사(知淳昌郡事)를 지내다가 단종이 세조(世祖)에게 양위(讓位)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동생 신말주(申末舟)와 함께 순창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중준(仲峻) - 신급(申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평주부원군(平洲府院君)에 추증된 신화국(申華國)의 아들이며 신립(申砬)의 형. 추천으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지만 나가지 않음.
1543~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중지(中之) - 국성(麴聖)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가전(假傳) 〈국선생전(麴先生傳)〉의 주인공. 아버지 국차(麴醝)와 어머니 곡씨(穀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主客郞中)을 지내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湘東侯)에 봉해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중지(仲止)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止)@한표 - 한표(韓淲)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 한원길(韓元吉)의 아들로, 장천(章泉) 조번(趙蕃)과 함께 ‘이천(二泉)’으로 불림. 저서로 《간천일기(澗泉日記)》 등이 있음.
1159~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유정 - 유정(留正)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광종(光宗) 때 좌승상(左丞相)이 되어 조여우(趙汝愚)ㆍ황상(黃裳)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나,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와의 불화로 인해 파직되었으며, 후에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짐.
1129~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왕흠신 - 왕흠신(王欽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의 문신ㆍ학자. 구양수(歐陽脩)에게 문장을 인정받고, 문언박(文彦博)의 추천으로 벼슬하여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등을 지냄. 저서에 《광풍미집(廣諷味集)》ㆍ《왕씨담록(王氏談錄)》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공풍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중지(仲至)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