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현(仲顯)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중형(仲衡) - 윤중형(尹仲衡)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제주 목사(濟州 牧使)ㆍ위원 군수(渭原郡守)ㆍ삭주 부사(朔州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중형(重衡) - 권중형(權重衡)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권호문이 55세 되던 해에 금영주(琴韺奏)와 함께 가르침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중호(仲虎)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호(仲虎)@이공인의아들 - 이중호(李仲虎)@이공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공인(李公仁)의 아들이며, 동암(東巖) 이발(李潑)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호(仲虎)@이정의아들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중호(仲豪) - 윤화명(尹化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한(尹瀚)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명자(名字)에 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중호(重湖)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홍(仲弘)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중홍(仲洪) - 김변(金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김세광(金世光)의 아들. 1535년(중종 30) 급제하여 훈련 참군(訓鍊參軍)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1501~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중화(中和) - 박이온(朴而溫)@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中和)@이겸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김창협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기언정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정여해 - 정여해(鄭汝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권중화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유종례 - 유종례(柳宗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동서(同壻)이자 김성일(金誠一)의 사돈으로, 습독(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허흡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화(仲和)@반충 - 반충(潘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지극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충효로써 정려함. 《약포집(藥圃集)》과 《학사집(鶴沙集)》에 묘지(墓誌)와 비명(碑銘)이 실려 있음.
1508~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