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증경건(曾景建) - 증극(曾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주희(朱熹)가 그의 서(書)와 시(詩)를 얻어서 특별하게 여겼다고 하며, 저서에는 《춘릉소집(春陵小集)》이 있으나 전하지는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증광(曾狂)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남풍(曾南豊)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증무(增茂) - 이증무(李增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둘째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증석(曾晳)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석(曾碩) - 이증석(李曾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증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외손자로, 중화 군수(中和郡守)를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증손(曾孫) - 김증손(金曾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황(金黃)과 김벽(金碧)의 아버지. 보천 교수(甫川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증수(增壽) - 이증수(李增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인(李認)의 아버지로, 사옹원 가낭청(司饔院假郎聽)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증씨십장(曾氏十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증영(增榮)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증완명(證頑銘)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증자(曾子)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전(曾傳)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증전위문정장성(增田衛門正長盛) - 증전장성(增田長盛)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45~161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증천(增泉)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증택지(曾擇之)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화(增華) - 이증화(李增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이번(李蕃)의 맏아들이며,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정전(鄭荃)의 사위로, 판관(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지(址) - 노지(盧址)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로, 고려 초에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짐. 풍천노씨(豊川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지(墀)@조선전기 - 김지(金墀)@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칠언절구(七言絶句) 〈정김군자헌(呈金君子獻)〉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지(墀)@김종손의아들 - 김지(金墀)@김종손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손(金宗孫)의 아들로,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냄.
1455~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