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죽제(竹第) - 노동(盧仝)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차(茶)를 노래한 것으로 유명함. 청렴한 인품을 가졌으며 조정에서 벼슬을 주었으나 끝내 사양함. 감로(甘露)의 변(變)에 휩쓸려서 죽었음.
775~83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죽주부수(竹州副守) - 이춘정(李春程)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죽지가(竹枝歌) - 죽지사(竹枝詞)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이 지은 가요. 유우석이 귀양 간 파유(巴渝) 지방 민가(民歌) 중의 하나로, 농민의 생활 감정을 19장으로 노래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죽지곡(竹枝曲) - 죽지사(竹枝詞)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이 지은 가요. 유우석이 귀양 간 파유(巴渝) 지방 민가(民歌) 중의 하나로, 농민의 생활 감정을 19장으로 노래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죽창(竹牕)@금오 - 금오(琴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를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 황준량(黃俊良)ㆍ권동보(權東輔)ㆍ정유일(鄭惟一) 등과 교유했음.
148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죽창(竹牕) - 이언창(李彦暢)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감찰시승(監察侍丞)을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호(號)에 대한 명문(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죽창(竹窓)@금오 - 금오(琴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를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 황준량(黃俊良)ㆍ권동보(權東輔)ㆍ정유일(鄭惟一) 등과 교유했음.
148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죽창(竹窓)@구용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죽창(竹窓)@윤돈 - 윤돈(尹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接伴官)으로 활약함.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선조의 능(陵)을 조성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창(竹窓)@이언창 - 이언창(李彦暢)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감찰시승(監察侍丞)을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호(號)에 대한 명문(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죽창(竹窓)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죽창(竹窓)@이시직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창산인(竹牕散人) - 금오(琴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를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 황준량(黃俊良)ㆍ권동보(權東輔)ㆍ정유일(鄭惟一) 등과 교유했음.
148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죽천(竹川)@조정 - 조정(趙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자 공신 조진(趙振)의 동생.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나 인조반정 후 대간의 탄핵을 받음.
1551~162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천(竹川)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죽천(竹泉)@이덕형 - 이덕형(李德泂)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 한성 판윤(漢城判尹)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고, 저서로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음.
1566~164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죽천(竹泉)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천대(竹千代)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죽천문집(竹川文集)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천선생문집(竹川先生文集)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