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준손(駿孫)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준수(俊秀)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숙(俊叔) - 권문언(權文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규(權逵)의 아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3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준숙(俊叔)@백미량 - 백미량(白眉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흥(大興).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白見龍)의 아버지.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준신(俊臣)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준암(樽嵓)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준암(樽巖)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준옹(俊翁) - 노수민(盧秀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노군묘명(盧君墓銘)〉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준왕(淮王) - 고변(高騈)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무신. 황소(黃巢)의 난을 평정하여 천하에 위명(威名)을 떨쳤으나, 여용지(呂用之)의 말을 믿다가 황제의 신임을 잃은 뒤 신선술을 닦으며 무료하게 보내던 중 필사탁(畢師鐸)에게 죽임을 당함.
?~88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준의(遵義) - 이준의(李遵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아들이며, 한천군(漢川君) 이괵(李𥕏)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준인(遵仁) - 이준인(李遵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이며, 이준의(李遵義)의 형. 일선수(一善守) 이엽(李曄)의 사위. 1534년(중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정(俊丁) - 윤준정(尹俊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太宗)의 부마(駙馬)인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희인(尹希仁)의 아버지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준정(俊挺) - 탁준정(卓俊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둘째 아들이고, 탁준립(卓俊立)의 동생이며, 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준중(濬仲)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준지(俊之)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준지(濬之)@최준 - 최준(崔濬)@최덕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계(丹溪).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최덕산(崔德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준지(濬之) - 이발(李渤)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형인 이섭(李涉)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자 빈객(太子賓客) 등을 지냄.
773~83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준천(濬川)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준치화(蹲鴟花)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중(中)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