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문(仲文)@김익희 - 김익희(金益熙)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김반(金槃)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610~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박의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황응규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문(仲文)@이종학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중문(仲文)@김중문 - 김중문(金仲文)
조선 전기의 유학.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유사(有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중문(仲文)@차중문 - 차중문(車仲文)
고려 후기의 유학.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실린 〈신미(新米)〉라는 시(詩)에 이색(李穡)에게 햅쌀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명(子明)@탁철수 - 탁철수(卓哲守)
조선 전기의 문신. 탁진옥(卓振玉)의 둘째 아들로, 첨지(僉知) 등을 역임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인 탁의상(卓義尙)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폐제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명(慈明) - 순상(荀爽)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12세에 《춘추(春秋)》와 《논어(論語)》에 정통한 영재로, 순가팔룡(荀家八龍) 중에서도 가장 명성이 높았음.
128~19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명(自明) - 맹사성(孟思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세종 때 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내고,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전기 문화창달에 크게 기여함. 《태종실록(太宗實錄)》ㆍ《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를 편찬하고, 향악(鄕樂)을 정리함.
1360~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자모(子牟)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목(子木) - 굴건(屈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大夫). 아버지 굴도(屈到)가 평소에 기(芰 : 마름)를 좋아하여 자신의 제사상에 올려주기를 부탁했으나, 예에 맞지 않는다 하여 원래대로 검(芡 : 연밥)을 쓰도록 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목(自牧) - 장자목(張自牧)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1195년(명종 25) 예부 시랑(禮部郞)으로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주관하고, 태복경 보문각직학사(太僕卿寶文閣直學士)로 치사(致仕)함. 최당(崔讜)ㆍ최선(崔詵) 등과 기로회(耆老會)를 만들어 즐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이호변 - 이호변(李虎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무(子武) - 강효문(康孝文)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무신.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가 되어 진관(鎭管)을 순시하던 중,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무(子茂)@이여송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무(子茂) - 이수오(李秀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엽(李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자문(子文)@강경서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