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보(子輔) - 강우덕(姜友德)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강회백(姜淮伯)의 아들.
1385~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보(玆父) - 양공(襄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51~B.C.637.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 초(楚) 나라의 군대와 홍수(泓水)에서 싸울 때 인정을 베풀다가 패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보(自寶) - 이자보(李自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조선 초기에 호분위 호군(虎賁衛護軍)을 지낸 이극명(李克明)의 아버지로, 신무위 대장군(神武衛大將軍)을 지내고 사후 호조 참의(戶曹參義)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자복(子復) - 민안인(閔安仁)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고려 말에는 제고(制誥)에 기여하였으며, 조선 개국 초에는 유학 진흥과 의례의 정비, 보급에 기여함. 권근(權近)과 교유함.
1343~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봉(子封) - 김만채(金萬埰)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참찬(左參贊) 김진상(金鎭商)의 아버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살(杖殺)된 아버지 김익훈(金益勳)의 억울함을 진정하다 절도로 유배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풀려나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44~17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부(子傅)@고득종 - 고득종(高得宗)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상장군 고봉지(高鳳智)의 아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짐.《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몇 편의 시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강음ㅣ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자부(子傅)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부(子溥) - 정훈(鄭薰)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七松處士)라 자호(自號)하였고, 벼슬은 태자소사(太子少師)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비왕(慈悲王) -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신라 제20대 왕. 재위 458~47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의 맏아들. 459년 왜병이 공격해 와 월성(月城)을 에워싸자 군사를 정비하여 이를 격퇴함.
?~4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자빈(子賓)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자빈(自濱) - 유자빈(柳自濱)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들로, 1462년(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합격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사(子思)@평당 - 평당(平當)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승상(丞相). 경학(經學)에 밝아 박사(博士)가 되었으며, 애제 때 공신에 책록되고 승상에 오름. 아들 평안(平晏)도 대사도(大司徒)에 올라 부자(父子)가 모두 재상을 지낸 영예를 누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사(子思) - 원헌(原憲)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겼음.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邑宰)가 되었으며,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衛)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사(子思)@공급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사자(子思子) - 공급(孔伋)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손자. 사서(四書)의 하나인 《중용(中庸)》을 편찬했으며, 증삼(曾參)의 학(學)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
B.C.483~B.C.4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산(子山) - 유신(庾信)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서능(徐陵)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음. 북조(北朝)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詩風)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詩文)을 집대성함.
513~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산(子産)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산(慈山) - 송세협(宋世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안악 군수(安岳郡守) 송세훈(宋世勛)의 동생. 쌍청당(雙淸堂) 옆에 건물을 지었는데, 조카 송남수(宋柟壽)가 증축(增築)하여 절우당(節友堂)이라고 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자산(慈山)@허추 - 허추(許樞)
조선 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양천(陽川). 매헌(梅軒) 허기(許愭)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관직에 나아가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내고, 세조(世祖) 잠저(潛邸)시의 요속(僚屬)이라 하여 원종삼등공신(原從三等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산군(者山君)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