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인(子仁)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윤증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한형원 - 한형원(韓亨元)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양군(西陽君) 한의(韓嶬)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거쳐 금화사 별제(禁火司別提) 등을 지냈음.
1461~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仁)@박희중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인(子因) - 정가종(鄭可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대사헌 정수홍(鄭守弘)의 아버지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수학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지냄. 《목은고(牧隱藁)》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인(子寅) - 남회(南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남효의(南孝義)의 부친이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자일(子一)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일(子逸)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 - 윤석보(尹碩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간신 임사홍(任士洪)을 극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때 연산군에게 충언(忠言)하다가 유배되어 죽음. 후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김광진 - 김광진(金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출사 후 주로 지방 관직에 재임하면서 치적을 쌓아 백성들의 칭송이 높았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임(子任)@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임(自任) - 윤자임(尹自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금손(尹金孫)의 아들로, 문무를 겸비하고 삼사(三司)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좌승지로 있을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북청(北靑) 배소에서 죽음.
1488~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자잠(子潛)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將)@양구거 - 양구거(梁丘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경공의 총애를 받았으며, 경공이 노(魯) 나라 정공(定公)과 회동할 때 경공을 따라 그 자리에 참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장(子將) - 노관(盧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노진(盧禛)의 동생. 강익(姜翼)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152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將)@허소 - 허소(許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매월 초하루마다 인물평을 한 데서 유래한 '월단평(月旦評)' 고사의 장본인으로, 형 허건(許虔)과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불림. 조조(曹操)를 평하여 '청평(淸平)의 간적(姦賊), 난세(亂世)의 영웅(英雄)'이라 한 일로 유명함.
150~19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장(子張)@배대유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張)@김진강 - 김진강(金振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어록(語錄)을 기록한 것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5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장(子張)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장(子張)@이극강 - 이극강(李克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운산군(雲山君) 이계(李誡)의 증손. 1564년(명종 1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