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척암(惕菴)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척암(拓庵) - 김도화(金道和)
조선 고종(高宗)~순종(純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의성(義城). 김약수(金若洙)의 아들이며,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門人).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
1825~1912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척약(惕若)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척약재(惕若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척약재(惕若齋) - 김약항(金若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명 나라에 보낸 표전(表箋)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揚子江)으로 귀양가 사망함.
?~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척약재선생학음집(惕若齋先生學吟集)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척약재집(惕若齋集) -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金九容)의 시문집(詩文集). 저자의 유고(遺稿)를 모은 본집(本集)과, 교유한 제인(諸人)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外集)으로 구성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척언(摭言) - 사재척언(思齋摭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정국(金正國)이 시화(詩話) 또는 명유(名儒)들의 일화(逸話)를 중심으로 평소 보고들은 바를 기록한 잡록집(雜錄集).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척주(陟州)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척화론(斥和論) - 주전론(主戰論)
화전(和戰) 양론(兩論)에서 싸우기를 주장하는 논의. 대표적으로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 삼학사(三學士) 등이 최명길(崔鳴吉)을 중심으로 한 주화론(主和論)에 대응하여 주장함.
사상>기법>방법
-
척화삼학사(斥和三學士) - 삼학사(三學士)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끝까지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1637년(인조 15) 중국 심양(瀋陽)에 잡혀가 처형당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척후(戚侯)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척희(戚姬) - 척부인(戚夫人)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총비(寵妃). 고조(高祖)가 죽은 뒤 여후(呂后)에 의해 팔다리가 잘리고 눈이 뽑히며 벙어리ㆍ귀머거리가 된 채 측간에 갇혀 ‘사람돼지(人彘)’라고 불림.
?~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천(仟) - 이천(李仟)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순(李順)의 아들로,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ㆍ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천(蒨)@고려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蒨)@조선 - 이천(李蒨)@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천(蕆) - 김천(金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김영후(金永煦)의 아들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蕆)@신천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천(蕆)@한천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