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첨(詹)@이첨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첨경(添慶) - 김첨경(金添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윤개(尹漑)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金虯) 등을 구원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역학(易學)과 경학(經學)에 밝음.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첨대(瞻臺) - 첨성대(瞻星臺)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는,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天文臺). 경상북도 경주(慶州) 인왕동(仁旺洞)에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기타시설
-
첨두노(尖頭奴) - 고필(古弼)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문신. 머리가 뾰족하여 태종(太宗)이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첨랑(甛娘)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첨모(瞻慕)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첨모당(瞻慕堂)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첨모당선생문집(瞻慕堂先生文集) - 첨모당집(瞻慕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임운(林芸)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및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원유(院儒)들이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했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序文)이 있음.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첨모당유고(瞻慕堂遺稿) - 첨모당집(瞻慕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임운(林芸)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및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원유(院儒)들이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했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序文)이 있음.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문헌>서명
-
첨정자(添丁子) - 이감(李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밀양 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냈으며,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첩목(帖睦)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첩목아불화(帖木兒不花) - 한효선(韓孝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征東省員外)ㆍ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첩목아불화(帖木兒不花)@최유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첩목이단화(帖睦邇漙化) - 기인걸(奇仁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군부총랑(軍簿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첩목이보화행(帖穆爾普化行)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첩산(疊山)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첩산사씨(疊山謝氏)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첩여(婕妤) - 반첩여(班婕妤)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후궁ㆍ시인. 시가(詩歌)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趙飛燕)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부(賦)를 지어 상심(傷心)을 노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후궁
-
청(淸)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청(淸)@이청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