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백재상(淸白宰相) - 두연(杜衍)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 부필(富弼)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
97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벽(靑壁)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보(淸甫) - 심회(沈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폐비윤씨(廢妃尹氏)의 폐출 사건에 연루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함.
1418~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보(淸甫)@정회아 - 정회아(鄭懷雅)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이며, 부윤(府尹) 이언(李堰)의 사위. 세조 즉위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광주 판관(光州判官) 등을 지냄.
1428~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보(淸甫)@이개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청부(淸夫) - 허위(許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공무(公務)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 초자(超資)되기도 하였으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85~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청부심씨(靑鳧沈氏) - 청송심씨(靑松沈氏)
고려 때 문림랑(文林郞)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청송 , 인명>집단>성씨
-
청사(晴沙) - 고용후(高用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청사집(晴沙集)》ㆍ《정기록(正氣錄)》 등이 있음.
157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청사(淸沙)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청사(淸莎) - 정자(鄭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자 우의정 정철(鄭澈)의 형으로, 정언(正言)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이배(移配)되던 도중 사망함.
151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청산군(淸山君) - 한혜(韓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산부원군(淸山府院君) - 한혜(韓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삼(靑衫)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상인(淸上人) - 설청(雪淸)
조선 후기의 승려. 홍섬(洪暹)ㆍ정유길(鄭惟吉)ㆍ홍가신(洪可臣) 등 당시 문인들의 문집에 그를 읊은 시가 다수 나옴.
한국>조선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청서(靑墅) - 강종경(姜宗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사인(舍人) 강극성(姜克誠)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냈으며, 성혼(成渾)과 교분이 두터웠고, 특히 역학(易學)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성(淸城)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청성(淸城)@이걸 - 이걸(李傑)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성(淸聖)@숙제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청성(淸聖)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청성(靑城) - 성대중(成大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서얼 출신으로 서얼통청운동(庶蘖通淸運動)에 힘입어 청직(淸職)에 임명됨.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 등과 교유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저서로 《청성집(靑城集)》이 있음.
1732~18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