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초계원융(草溪元戎) - 이윤검(李允儉)@이순생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재임시에 선정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함.
1451~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초곡(草谷) - 황계옥(黃啓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황진손(黃震孫)의 아들로, 정시(庭試)의 참시관(參試官)을 지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로 회령(會寧)의 화재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현지로 가던 중 병사함.
?~149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초공(焦贛)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초공역림(焦貢易林) - 역림(易林)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초연수(焦延壽)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한 괘(卦)에 64개의 변괘(變卦)를 갖추어, 육십사괘(六十四卦) 총 4,096개의 변괘에 대한 점사(占辭)를 갖춤. 16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초광(楚狂) - 육통(陸通)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광인(狂人). 소왕(昭王) 때 나라에 법도가 없음을 보고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논어(論語)》 〈미자편(微子篇)〉에 공자(孔子)의 집을 지나며 부른 봉가(鳳歌)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초국대부(楚國大夫)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군(楚頵) - 성왕(成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71~B.C.626. 송(宋) 나라를 대파하고 기(夔)를 멸망시킨 다음 태산(泰山) 이남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아들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자살함.
?~B.C.6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초굴(楚屈)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초기(初起) - 황초기(黃初起)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유학. 금화산(金華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는 황초평(黃初平)의 형.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초당(草堂)@유현 - 유현(劉顯)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 나라 제독(提督) 유정(劉綎)의 아버지. 세종 때 묘족(苗族)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功)을 세우고, 도독(都督) 등을 지냄.
?~158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초당(草堂)@이석간 - 이석간(李碩幹)
조선 전기의 유학ㆍ의원. 본관은 공주(公州). 권호문(權好文)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하였으며, 의술(醫術)에 정통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유학
-
초당(草堂)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구만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허엽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堂)@강경서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초당(草塘)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초당거사(草堂居士) - 위야(魏野)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ㆍ은자.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陝州) 동교(東郊)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초당노인(草堂老人)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초당병옹(草堂病翁)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초당선생(草堂先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