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촉제(蜀帝) - 두우(杜宇)
중국 촉(蜀)의 국왕. 왕위를 빼앗기고 나라를 그리워하며 울다가 죽어서 두견(杜鵑)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음.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촉주(蜀主)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촉한(蜀漢) - 촉(蜀)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후손인 유비(劉備)가 한(漢)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 세운 왕조. 2대 43년간 존속.
22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촉호거사(燭湖居士) - 손응시(孫應時)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육구연(陸九淵)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에 《촉호집(燭湖集)》이 있음.
1154~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촌은(村隱) - 유희경(劉希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南彦經)에게 《가례(家禮)》를 배우고 특히 상례(喪禮)에 통달하였으며,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
1545~16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문인
-
총(叢) - 민총(閔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계(閔季)의 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민시중(閔時中)의 아버지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총(寵) - 유총(柳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버지로, 소부 소감(小府少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총(摠)@정총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총(摠)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摠)@강총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총(灇)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聰)@설총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총(聰)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총(𤄓)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총공(聰公)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총례(聰禮) - 나총례(羅聰禮)
고려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삼한벽상일등공신(三韓壁上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봉해짐.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총릉(聰陵)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총선사(聰禪師)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총선자(聰禪者) - 명암(明菴)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이 쓴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총어(叢語)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