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최만전(崔萬全) - 최항(崔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우(崔瑀)의 서자로, 집권 초기에는 과중한 세금을 경감하고 탐관오리를 소환하는 등의 정책을 펼쳐서 인망을 얻었으나, 점차 호사와 향락을 일삼고 몽고(蒙古)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125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무자(崔武子) - 최저(崔杼)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 때 정(鄭)ㆍ진(秦) 나라 등의 정벌에 공을 세움. 자신의 처와 사통한 장공(莊公)을 시해하고 경공(景公)을 세워 전권을 휘둘렀으나 집안의 불화를 틈탄 경봉(慶封)에 의해 멸문을 당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최문창(崔文昌)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복술(崔福述)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복초(崔復初)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부(崔阜)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사축(崔司畜)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삼봉(崔三峯) - 길삼봉(吉三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도적. 정여립(鄭汝立)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최영경(崔永慶)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도적
-
최석(崔錫) - 최석(崔奭)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평장사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의 아버지.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정주(貞州)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였으며, 당대의 문인으로 명성을 떨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최석만(崔錫萬)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선(崔仙)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선문(崔善問) - 최선문(崔善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창신교위(彰信校尉) 최자강(崔自江)의 아들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성천(崔成川)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수(崔琇)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수우(崔守愚)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수우당(崔守愚堂)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식(崔寔)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최실(崔實)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안(崔安)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앵앵(崔鸎鸎)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