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최언명(崔彦明)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언침(崔彦沈)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최여신(崔汝信)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최여이(崔汝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영(最英) - 이최영(李最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이며, 이진영(李震英)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최영비(崔寧妃) - 영비(寧妃)
고려 제32대 우왕(禑王)의 계비(繼妃). 본관은 동주(東州). 최영(崔瑩)의 서녀(庶女)로, 우왕이 강화(江華)로 유배될 때 따라감. 우왕이 신돈(辛旽)의 후손이라 하여 위조(僞朝)로 폄하됨에 따라 《고려사(高麗史)》〈후비전(后妃傳)〉에 들지 못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최원정(崔猿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최유손(崔有孫) - 최자해(崔自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최원지(崔元之)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원평(原平)ㆍ밀양(密陽)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냄.
1363~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최이(崔怡)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최인재(崔訒齋)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일휴당(崔日休堂)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최입지(崔立之)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자(崔子) - 최저(崔杼)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 때 정(鄭)ㆍ진(秦) 나라 등의 정벌에 공을 세움. 자신의 처와 사통한 장공(莊公)을 시해하고 경공(景公)을 세워 전권을 휘둘렀으나 집안의 불화를 틈탄 경봉(慶封)에 의해 멸문을 당함.
?~B.C.54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최자수(崔子粹) - 최덕수(崔德秀)
조선 전기의 문신. 이해(李瀣)의 사위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별좌(別座)ㆍ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최자옥(崔子玉) - 최원(崔瑗)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서예가. 문사(文辭)에 능하고, 장제(章帝) 때 두도(杜度)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章草)를 잘 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최자화(崔子華)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최정분(崔正份)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정분(崔正芬) - 최정빈(崔正彬)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경상도 상주(尙州)에 있는 공검지(恭儉池)의 수축(修築)을 관장하고, 첨서추밀원사(簽書樞密院使)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최제선(崔濟宣) - 최제우(崔濟愚)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창시자로, 풍수사상과 유(儒)ㆍ불(佛)ㆍ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人乃天)을 주장함.
1824~18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경상도>양산ㅣ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졸옹(崔拙翁)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