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리(致利)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치만(致萬) - 김치만(金致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李縕)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 시직(侍稷)을 역임함.
1697~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명(致明)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치보(治甫)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치부(恥夫) - 유사렴(兪思廉)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수원부차유선생운(水原府次兪先生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치사헌(致思軒)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산(廌山)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산선생(廌山先生)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치상(致祥) - 목치상(睦致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생원(生員) 목승평(睦昇平)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치생마(治生馬)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치숙(治叔)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치숙(癡叔)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신(致身) - 황치신(黃致身)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황희(黃喜)의 아들.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름. 형조 정랑(刑曹正郞)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
1397~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치신(致身)@이치신 - 이치신(李致身)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후사가 없어 형 이성신(李省身)의 아들인 이환(李桓)을 양자로 들임.
1594~166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치암(恥庵)@구사민 - 구사민(具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낸 구순(具淳)의 아들. 1578년(선조 11)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현감(縣監)을 지내고,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치암(恥庵)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치암(恥菴)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암(癡菴)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앙(穉仰)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