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칠봉(七峯)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칠봉사(七峯祠) - 오봉서원(五峯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강원도 강릉(江陵)에 건립한 서원. 삼척 부사(三陟府使) 함헌(咸軒)과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공자(孔子)의 화상(畫像)과 주자(朱子)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5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봉원(七峯院) - 칠봉서원(七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원주(原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원천석(元天錫)ㆍ원호(元昊)ㆍ정종영(鄭宗榮)ㆍ한백겸(韓百謙)을 배향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칠불선원(七佛禪院)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칠불암(七佛庵)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칠산군(漆山君) - 이선손(李璿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고림정(高林正) 이훈(李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산정(漆山正) - 이선손(李璿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고림정(高林正) 이훈(李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서(七書) - 무경칠서(武經七書)
중국의 병법(兵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략을 세우는 등 용병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책으로, 《손자(孫子)》ㆍ《오자(吳子)》ㆍ《사마법(司馬法)》ㆍ《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ㆍ《위료자(尉繚子)》ㆍ《삼략(三略)》ㆍ《육도(六韜)》를 가리킴.
1083 중국>송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칠서석의(七書釋義)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칠서지옥(七庶之獄) - 계축화옥(癸丑禍獄)
조선 1613년(광해군 5)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獄事). 서인(西人)ㆍ남인(南人)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폐위됨.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건>역모
-
칠석일(七夕日) - 칠석(七夕)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銀河)의 서쪽에 있는 직녀(織女)와 동쪽에 있는 견우(牽牛)가 오작교(烏鵲橋)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를 기념하여 마을 축제 등을 벌임.
사건>풍속
-
칠성(七城) - 용안(龍安)
전라도 북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이곳 금두포(金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어 조운(漕運)의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함.
전라도>용안 , 지명>행정지명
-
칠성군(漆城君)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칠성수(漆城守) - 이화(李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으로, 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의 아들.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수언(李粹彦)의 사위로, 칠성수(漆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칠송(七松)@경섬 - 경섬(慶暹)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340명을 데리고 돌아옴.
1562~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칠송(七松)@이령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칠송(七松)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칠송거사(七松居士)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칠송당(七松堂)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정(七松亭)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