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토문강(土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토미륵(土彌勒)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토수주(兔守株)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토요(土曜)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토원(兎苑) - 양원(梁園)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양효왕(梁孝王) 유무(劉武)가 하남성(河南省) 개봉현(開封縣) 동남쪽에 만든 정원. 매승(枚乘)ㆍ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부(辭賦)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토정(土亭)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토지(土芝)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토해이사금(吐解尼師今)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토헌(土軒)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토황소격(討黃巢檄) - 격황소서(檄黃巢書)
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고변(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
880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 격황소서(檄黃巢書)
통일신라의 대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 나라에서 벼슬할 때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고변(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를 토벌하러 나갔을 때 지어 보낸 글임.
880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통(統) - 윤통(尹統)
조선 전기의 문신.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통(通)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통(通)@이통 - 이통(李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 이인상(李麟祥)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증(李景曾)의 아버지로, 순천 군수(順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통(通)@조통 - 조통(趙通)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공낭중(考功郞中)으로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남.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에 모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통감(通鑑)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通鑑)@자치통감절요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강목(通鑑綱目)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쓴 역사서. 59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토대로 정통(正統)ㆍ비정통을 분별하고 대요(大要)와 세목(細目)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음. 주희는 대요만을 썼고, 제자 조사연(趙師淵)이 세목을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거요보유(通鑑擧要補遺) - 자치통감거요보유(資治通鑑擧要補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의 저서. 100권. 사마광(司馬光)이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자치통감목록(資治通鑑目錄)》을 절충하여 《거요록(擧要錄)》을 편찬하려 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호안국이 뒤를 이어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외기(通鑑外紀) -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서(劉恕)가 지은 책. 10권. 《자치통감(資治通鑑)》이전 시대의 역사를 서술함. B.C.841년 주(周) 공화(共和) 1년부터 B.C.404년 주 위열왕(威烈王) 22년까지의 전설과 사실 등을 집록(集錄)함.
10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