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통감절요(通鑑節要) - 자치통감절요(資治通鑑節要)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강지(江摯)가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략하게 간추려 편집한 사서(史書). 50권. 조선 초기부터 《통감(通鑑)》이라는 이름으로 글방의 초학(初學) 교재로 통용됨.
123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절요속편(通鑑節要續編)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감찬요(通鑑纂要) - 역대통감찬요(歷代通鑑纂要)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동양(李東陽) 등이 편찬한 역사책. 92권. 목판본. 상고(上古)에서 원(元) 나라까지의 역사를 서술함.
1507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계(通溪)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통계(通溪)@양산한 - 양산한(梁山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정릉 참봉(貞陵參奉)을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통덕진(通德鎭)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통례(通禮) - 상통례(喪通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편명.
중국>송 , 중국 , 문헌>편명
-
통로(通老) - 황중(黃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소무(邵武) 사람으로,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ㆍ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내고, 《주의(奏議)》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통로(通老)@양즙 - 양즙(楊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서운판(江西運判) 등을 지냄. 양방(楊方)ㆍ양간(楊簡)과 함께 삼양(三楊)으로 불림. 저서에 《열당문집(悅堂文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통록(通錄)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통명(通明)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통문강(統們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통문강(統門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통문하(統門河)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통변(通辯) - 학부통변(學蔀通辯)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진건(陳建)의 저서. 12권. 전(前)ㆍ후(後)ㆍ결(結)ㆍ종(終)의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불학(佛學)과 육상산(陸象山)의 성리학에 대해 정학(正學)을 그르치는 학문이라고 논술함.
153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통보(通甫) - 최함(崔咸)
고려 후기의 유학. 정총(鄭摠)의 《복재집(復齋集)》에 그를 방문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통보(通甫)@윤유심 - 윤유심(尹惟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우참찬(右參贊) 윤의중(尹毅中)의 아들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생부(生父)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통사(通師) - 구양통(歐陽通)
중국 당(唐)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구양순(歐陽詢)의 아들로,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 중서사인(中書舍人)ㆍ사예경(司禮卿)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渤海公)에 봉해짐.
?~691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통산군(通山君) - 이을진(李乙珍)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 최영(崔瑩)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통설(通說) - 사변록(思辨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이 사서(四書)와 상서(尙書)ㆍ시경(詩經)을 주해(註解)한 책. 경전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공맹(孔孟)의 본지를 밝혔으나, 주희(朱熹)의 경의(經義)에 반기를 든 해석을 했기 때문에 당시 정계ㆍ학계에 큰 물의를 일으켜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낙인이 찍힘.
17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