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통지(通之)@이규 - 이규(李逵)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경(李庚)의 아들로, 시와 글씨에 능하고,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나 고향에서 죽음.
1454~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심결 - 심결(沈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영의정을 지낸 심온(沈溫)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1419~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통지(通之)@권달수 - 권달수(權達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 권림(權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종묘에 모시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다시 압송되어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46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통해(通解) - 가례통해(家禮通解)
조선 후기의 학자 이천상(李天相)이 저술한 《가례(家禮)》에 관한 해설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통현(洞玄) - 원저(元宁)
고려 후기 이규보(李奎報)의 가전체 소설인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에 나오는 현부(玄夫)의 둘째 아들. 오(吳)와 월(越) 사이를 방랑하면서 자호(自號)를 통현선생(洞玄先生)으로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퇴계(退溪)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고(退溪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계로(退溪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서척(退溪書尺) -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이 주고받은 서신(書信) 모음집. 3권 3책. 목판본. 1558년(명종 13)부터 1570년(선조 3) 사이에 왕복한 서신으로, 기효증(奇孝曾)이 수집ㆍ정리하고, 조찬한(趙纘韓)이 초간하였으며, 기언정(奇彥鼎)이 중간함.
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문헌>서명
-
퇴계여헌(退溪旅軒)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계일고(退溪逸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계전서(退溪全書)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곡(退谷)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退陶)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만은(退陶晩隱)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부자(退陶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퇴도선생유고(退陶先生遺稿)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선생유집(退陶先生遺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퇴도선생집(退陶先生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