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파흥수(坡興守) - 이응순(李應順)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흥수(坡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판곡(板谷) - 성윤해(成允諧)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近)의 아들로, 학행(學行)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 현감(泰仁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판옥(判玉) - 박종래(朴從來)
조선 전기의 유학. 회헌(晦軒) 박종원(朴宗元)의 후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문사>유학
-
팔각암(八角巖) - 부담암(釜潭巖)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에 있는 바위 이름. 바위 모양이 팔각으로 생겼다 하여 팔각암(八角巖)이라 하기도 함.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목(李穆)의 시에 이 바위에 대한 기록이 전함.
경기도>양근 , 지명>자연지명
-
팔계(八溪)@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팔계(八溪) - 초계(草溪)
경상남도 합천(陜川)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초계 , 지명>행정지명
-
팔계(八溪)@정종영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팔계(八溪)@정봉시 - 정봉시(鄭鳳時)
조선 고종(高宗)~근대(近代)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경학원 대제학(經學院大提學) 등을 지냈고, 문장을 잘 하여 《간재집(艮齋集)》ㆍ《동원집(東園集)》 등의 서문을 지음.
1855~?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팔계군(八溪君)@정종영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팔계군(八溪君) - 이정(李淨)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아들. 어명으로 덕성군(德城君)의 후사로 입계(入繼)되었으나, 후사가 없어 형 정양군(定陽君)의 3남인 황원정(黃原正)을 후사로 삼았다
1445~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팔계정씨(八溪鄭氏) - 초계정씨(草溪鄭氏)
고려 전기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사학(私學)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어 유가(儒家)의 대가(大家)로 일컬어지는 정배걸(鄭倍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집단>성씨
-
팔곡(八谷) - 구사맹(具思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아버지로, 좌찬성(左贊成)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을 거치며 공을 세워 사후(死後)에 호성(扈聖)ㆍ선무(宣武)ㆍ정난(靖難) 등의 원종공신에 책록됨.
1531~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팔곡선생집(八谷先生集) - 팔곡집(八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의 문집. 4권. 목판본. 아들 구성(具宬)이 정리한 《팔곡유고(八谷遺稿)》를 외손서(外孫婿)인 이식(李植)이 4권으로 편차하고, 1632년(인조 10) 차남인 구굉(具宏)이 통영(統營)에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팔곡유고(八谷遺稿) - 팔곡집(八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구사맹(具思孟)의 문집. 4권. 목판본. 아들 구성(具宬)이 정리한 《팔곡유고(八谷遺稿)》를 외손서(外孫婿)인 이식(李植)이 4권으로 편차하고, 1632년(인조 10) 차남인 구굉(具宏)이 통영(統營)에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팔급(八及) - 임팔급(林八及)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한림 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간신들의 참소가 있자 8학사 중 한 사람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와 평택(平澤)에 정착하여, 평택임씨(平澤林氏)의 도시조(都始祖)가 됨.
중국>당 , 중국ㅣ충청도>평택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팔두(八斗)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팔룡(八龍)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팔만경(八萬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시대에 부처님의 설법과 부처님이 정한 교단의 규칙 및 경(經)ㆍ율(律)에 대한 논(論) 등을 모아 간행한 불교 경전(經典)의 총칭.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ㆍ《교장(敎藏)》ㆍ《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등이 판각됨.
한국>고려시대 , 문헌>서명
-
팔사마타아지(八思麻朶兒只)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