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팽손(彭孫)@임팽손 - 임팽손(任彭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팽손(彭孫)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팽자수(彭子壽)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장(彭丈)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정견(彭廷堅) - 팽정견(彭庭堅)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문신. 지방관이 되어 선정을 베풀고 여러 차례 도적을 격퇴하여 공을 세웠으나, 포악한 진무만호(鎭撫萬戶) 악환(岳煥)을 처벌하려다 역공(逆攻)에 밀려 피살됨.
1312~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조(彭祖)@말제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팽조(澎祖)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팽지당(彭止堂)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팽택(彭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령(彭澤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로(彭澤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수(彭澤叟)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팽택옹(彭澤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편^유(扁^兪) - 유^편(兪^扁)
중국 고대 헌원(軒轅) 때의 의관(醫官)인 유부(兪跗)와 주(周) 나라의 의관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명의(名醫)를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화(扁^和) - 화^편(和^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인 의화(醫和)와 주(周) 나라의 명의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화(扁^華) - 편^타(扁^佗)
중국 주(周) 나라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과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를 함께 부르는 말. 의술이 뛰어난 명의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편암(遍菴) - 해미(海彌)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편암해미상인권(書遍菴海彌上人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편정(褊玎)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편조(遍照)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폄우(砭愚) - 동명(東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동쪽 창에 학자의 언행(言行)에 관해 쓴 글. 원래 명칭은 〈폄우(砭愚)〉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