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로(寒老)@김굉필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한로(漢老) - 박한로(朴漢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함경도 길주(吉州) 출신으로. 같은 고장의 함경충(咸敬忠)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 와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한로(韓老)@한유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로(韓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룡(漢龍) - 정한룡(鄭漢龍)
조선 전기의 문신. 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낸 정광보(鄭光輔)의 아들이고 정사룡(鄭士龍)의 형. 수원 판관(水原判官)ㆍ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역임함.
1487~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한류(漢劉)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리학관(漢吏學官) - 이문학관(吏文學官)
조선시대 사대교린(事大交隣)에 관한 문서를 맡아보았던 승문원(承文院) 소속의 관리. 1525년(중종 20)에 남곤(南袞)의 건의에 의해 설치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직
-
한림원(翰林院)@예문관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한마(漢馬)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한명(漢明)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명길(韓鳴吉) - 한백겸(韓百謙)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역학(易學)에 밝아 《주역전의(周易傳義)》를 교정하였고,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를 저술하여 실학(實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
1552~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무(漢武)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문(漢文)@노한문 - 노한문(盧漢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노자장(盧自璋)의 아들로, 사관(史官)의 조보(朝報) 작성과 이를 재상(宰相)에 전송(傳送)하는 일을 혁파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문(漢文)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한문(韓文)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문경(韓文敬)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한문공(韓文公)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방(翰邦) - 곽한방(郭翰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지낸 곽종의(郭宗儀)의 아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양천 현령(陽川縣令) 등을 지냄.
1486~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한벽(寒碧)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한벽노인(寒碧老人) - 곽기수(郭期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선략장군(宣略將軍) 곽세유(郭世幼)의 아들. 관직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이르렀으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재직 중에 낙향하여 《주역(周易)》 연구에 전념함.
1549~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