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한원군(漢原君)@조선 - 조선(趙璿)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를 지낸 조말생(趙末生)의 아들로, 태종의 딸인 정정옹주(貞靜翁主)와 혼인함.
1410~14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왕실>인척
-
한원군(漢原君)@이수철 - 이수철(李守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우생(李遇生)의 아들이며, 한산군(漢山君) 이손(李蓀)의 아버지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한원군(漢原君)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원군(韓原君) - 이치(李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ㆍ이지함(李之菡)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풀려나 판관(判官) 등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한원군(韓原君)@이유청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한원수(漢原守) - 이인수(李麟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한원집(翰苑集)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한위공(韓魏公)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한유문(韓有文) - 한유문(韓有紋)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거쳐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역임함.
?~143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한음(漢陰)@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음(漢陰) - 두감(杜淦)
중국 송(宋) 나라 사람. 사수(泗水) 부근에 살면서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수모를 견디고 벼슬하는 것에 비하면 농사짓는 것이 낫다고 말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한음수(漢陰叟)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한이부(韓吏部)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익부(韓益夫) - 한중겸(韓重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5~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한익지(韓益之)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한자(韓子)@한유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한자(韓子) - 한비(韓非)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공자ㆍ학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노장(老莊)의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받아들여 법가의 학설을 대성하였으며, 저서에 《한비자(韓非子)》가 있음.
B.C.280?~B.C.23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왕자
-
한자(韓子)@한비자 - 한비자(韓非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사상가인 한비(韓非)의 저서. 55편 20책. 인성이기설(人性利己說), 법치주의(法治主義) 등 법의 지상(至上)을 강조한 법가사상(法家思想)의 대표적인 책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