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함평대군(咸平大君)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함풍군(咸豊君)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함풍부원군(咸豐府院君)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함허(涵虛)@기화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涵虛)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허당(涵虛堂)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당득통화상어록(涵虛堂得通和尙語錄) -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의 시문집. 1권. 목판본. 1440년(세종 22)에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에서 간행함. 전여필(全汝弼)의 서문과 제자 야부(冶夫)의 행장이 수록됨.
14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함허자(涵虛子)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함허자(涵虛子)@홍귀달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허정(涵虛亭)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함형(咸亨)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함흥부수(咸興副守) - 이춘형(李春亨)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함희(咸熙) - 이성(李成)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산수화(山水畫)에 매우 뛰어나 관동(關仝)ㆍ범관(范寬)과 더불어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919~96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합라첩목아(哈刺帖木兒) - 채하중(蔡河中)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채홍철(蔡洪哲)의 아들.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忠惠王)을 호종(扈從)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 때 달선(達禪)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梟首)됨.
?~135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합려(闔廬)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합성(陜城)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합신(合臣)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합자보(合字譜) - 현금합자보(玄琴合字譜)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성현(成俔)이 현악기(絃樂器)의 연주법을 약자(略字)로 만들어 기록한 악보(樂譜).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합적길(哈赤吉) - 합진(哈眞)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1218년(고려 고종 5) 고려에 들어와 찰랄(札剌) 등과 함께 거란(契丹)을 친 뒤, 1219년(고종 6) 고려의 김취려(金就礪)ㆍ조충(趙沖)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江東城)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합주(陜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