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풍산군(豊山君)@이종린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산군(豊山君)@심응 - 심응(沈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 심정(沈貞)의 아버지로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산군(豊山君)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풍산군(豊山君)@심치 - 심치(沈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심귀령(沈龜齡)의 아들이자 와서 별좌(瓦署別坐) 심견(沈肩)의 아버지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사후 풍산군(豊山君)에 봉(封)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풍산군(豊山君)@임덕유 - 임덕유(任德裕)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 임자송(任子松)의 아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풍산도정(豊山都正)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산백(豐山白)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풍산부령(豊山副令) - 이감(李瑊)@이계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증손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들.
?~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산부정(豐山副正) - 이외(李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아들이며,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淑義)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산정(豊山正)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서(豐嶼)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풍서주인(風棲主人)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풍성(豊城)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성군(豊城君)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성군(豊城君)@이전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풍성부원군(豊城府院君)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풍성수(豊城守)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풍소(風騷) - 풍소궤범(風騷軌範)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이 엮은 고시집(古詩集). 한(漢)ㆍ위(魏)로부터 원말(元末)까지의 고시를 수록함. 전집 16권은 시체(詩體)로 편하고, 후집 29권은 내용 유형에 따라 분류함. 45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풍수(風樹) - 풍수지탄(風樹之嘆)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 모시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 주(周) 나라 때의 고어(皐魚)가 어머니의 죽음에 탄식하며 “나무는 고요히 있으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아들은 어버이를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라고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풍승상(馮丞相)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