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하^강(河^江) - 강^하(江^河)
중국에서 가장 긴 강인 양자강(揚子江)과 두 번째로 긴 황하(黃河)를 함께 부르는 말.
지명>기타지명
-
하각재(河覺齋)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간(河間)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왕(河間王)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헌왕(河間獻王)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하간효왕(河間孝王) - 목황(穆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아들. 하간왕(河間王)에 봉해졌으며, 평소 예절을 좋아하여 관리들의 존경을 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하강(夏康) - 태강(太康)
중국 하(夏) 나라 제3대 왕. 우(禹)의 손자이며, 계(啓)의 아들로, 사냥을 좋아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후예(后羿)에게 쫓겨났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하거(河渠)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겸재(河謙齋)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하경(夏卿) - 왕진(王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왕유(王維)의 동생으로 형제간의 우애가 각별하여 자신의 관직을 감등하여 형의 죄를 속죄함. 안록산(安祿山)의 난 때 태원(太原)의 소윤(少尹)이 되어 태원을 지킴.
700~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하경(夏卿)@조상우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하경(夏卿)@이기하 - 이기하(李基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어영 대장(御營大將) 이여발(李汝發)의 아들이자 이사윤(李思胤)의 아버지. 훈련 대장(訓鍊大將) 등을 지내고, 숙종대 20여 년간 군대를 지휘함.
1646~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하경(夏卿)@이익하 - 이익하(李翊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두원(斗元) 이추(李樞)의 아들이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낸 이정(李珽)의 아버지.
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문인
-
하계(下季)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하계(霞溪)@권유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하계(霞溪) - 이가순(李家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귀서(李龜書)의 아들로, 성균관(成均館)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 교리(校理) 등을 지내며,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데 힘씀.
1768~18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하계진(賀季眞)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하고(河鼓)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하곡(河曲)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하곡(荷谷)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