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찬경(燦瓊) - 의경(義瓊)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이 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찬록(贊祿)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찬문(贊文) - 심찬문(沈贊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으로, 백린(伯鱗) 심반(沈攀)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찬부(纘夫) - 탁광손(卓光孫)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둘째 아들로, 선부서(選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찬부(纘夫)@봉사종 - 봉사종(奉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으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공신 봉천우(奉天祐)의 후손. 안악 군수(安岳郡守)를 지냈으며 군자정(軍資正)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찬선(纘先) - 김찬선(金纘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손자로, 1569년(선조 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역임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찬설옹(餐雪翁)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찬숙(粲叔) - 권문저(權文著)
조선 전기의 유학. 안분당(安分堂) 권규(權逵)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낸 작은아버지 권수(權遂)의 양자로 들어갔음.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덕이 뛰어나 화릉 참봉(和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음.
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찬원(贊元) - 노양(盧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인. 《서정기(西征記)》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찬중(纘仲) - 김광찬(金光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위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찬지(贊之)@허보 - 허보(許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도사(都事)를 지낸 허량(許亮)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찬지(贊之)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찬한(纘韓)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찬핵현(鑽核賢)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찬황(贊皇)@이덕유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찬황(贊皇)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찬황공(贊皇公)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찬황백(贊皇伯)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찬황현백(贊皇縣伯)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찬후(酇侯) - 소하(蕭何)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재상.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한 나라 왕조 경영의 기초를 다졌으며, 진(秦) 나라의 법률을 참고하여 《구장률(九章律)》을 편찬함.
?~B.C.1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경대부